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침투 수법을 북한이 전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리 군 당국이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뿐만 아니라 북한 무기가 하마스로 흘러 들어간 정황도 포착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임성재 기자! <br /> <br />군이 하마스의 이번 공격 방식이 북한의 기습 전술과 유사하다고 판단한 근거는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군은 하마스가 북한과 전술 교리나 훈련 등에서 직·간접적으로 연계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근거는 침투 방식의 유사성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지난 2016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청와대 모의 타격 훈련을 실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공개된 영상과 사진에서 눈에 띄는 건 패러글라이딩 혹은 낙하산을 이용했다는 점인데요. <br /> <br />패러글라이딩 하나에 무장한 특수부대원 최대 두 명이 탑승해 기습 침투하는 모습이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이 모습은 유대교 명절을 맞아 열린 이스라엘 음악축제 현장에 하마스 대원들이 장벽을 넘어 침투한 방식과 유사합니다. <br /> <br />촬영 영상을 보면 패러글라이딩이 하나, 둘씩 보이더니 행사장은 금새 아수라장이 됩니다. <br /> <br />하마스 대원들의 등장에 겁에 질린 시민들은 다급하게 피신하는데요. <br /> <br />결국, 행사장 인근에서는 시신 260여 구가 발견됐고, 수백 명이 실종됐습니다. <br /> <br />군 고위 관계자는 침투 방식의 유사성을 언급하며 북한의 노하우가 전수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군 당국은 하마스의 기습은 북한이 그간 강조한 전술 교리와 상당히 유사하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휴일 새벽 기습 공격이나 대규모 로켓 발사로 방어체계 무력화, 드론 공격으로 각종 감시·통신·사격통제 체계 파괴 후 침투 등이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 무기가 하마스로 유입되고 있는 정황도 포착됐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이스라엘 국경 지역에서는 북한제 122mm 방사포탄이 발견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포탄 겉면에는 한글로 '방-122'라는 표기가 적혀 있었다고 군은 전했는데요. <br /> <br />'방-122' 표기는 연평도 포격 당시 떨어진 포탄과 최근 우크라이나 전선에서도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발견 지역을 고려해 보면 하마스 예하 무장단체나 하마스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무장단체가 사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군 관계자는 이 포탄이 북한에서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직접 수출을 했는지 확인되지 않았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임성재 (lsj6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01813360626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